알뜰교통카드는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혹은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 만큼 마일리지를 적립 후 추가로 카드사의 할인 혜택을 받으면서 교통비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교통 카드인데요. 다음 달부터 혜택이 플러스가 되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상향 한다고 합니다. 한번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다음 달부터 이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을 통해 기존 월 44회라는 마일리지 적립 횟수를 월 60회로 상향 한다고 합니다. 상향 된 횟수가 글로 보게 되면 얼마 많지 않아 보이나 대중 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은 아마 크게 부담이 덜 할 것입니다. 또한, 기존 카드사 6군데에서 5군데의 카드사가 추가되어 총 11개의 카드사가 운영을 하게 되어 선택권의 폭도 넓어졌습니다.
기존 | 신규 |
---|---|
신한, 우리, 하나, 로카, 티머니, DGB | +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 |
이렇게 변했어요
구분 | 2천원 미만 | 2천원~3천원 | 3천원 이상 | 비고 |
---|---|---|---|---|
일반 | 11,000원 > 15,000원 | 15,400원 > 21,000원 | 19,800원 > 27,000원 | 이동거리(최대 800m)에 비례하여 지급 |
청년 | 15,400원 > 21,000원 | 22,000원 > 21,000원 | 28,600원 > 39,000원 | “ |
저소득층 | 30,800원 > 42,000원 | 39,600원 > 54,000원 | 48,400원 > 66,000원 | “ |
현재 모바일 페이로도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저소득층의 증빙서류를 제출을 생략하고 카카오 톡 알림 서비스를 개발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아마 처음 보시는 분들은 많이 헷갈리실 수도 있을 텐 데요. 다시 한번 쉽게 설명 드리자면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 거리 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서 대중 교통 요금과 이동 거리에 따라 차등 적립을 하는 겁니다. 표로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 마일리지 | 2천원 미만 | 2천원~3천원 | 3천원 이상 | 비고 |
---|---|---|---|---|
일반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 거리 800m기준 |
청년 | 350원 | 500원 | 650원 | “ |
저소득 | 700원 | 900원 | 1,100원 | “ |
마일리지 지급 기준
월 15회 이상 대중 교통을 이용했다면 최대 60회까지 지급합니다. 가입 첫 달의 경우에는 15회 미만도 적립금이 지급 가능하며, 60회 이상 시엔 적립금이 많은 순으로 해서 60회에 대한 적립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마일리지 적립 방법
1️⃣출발지와 도착지를 설정 입력, 2️⃣즐겨 찾기 등록, 3️⃣도보 수로 산출 된 마일리지 중에 가장 큰 금액을 적립하게 됩니다.
1️⃣ 출발, 도착 입력 시 출발 위치 ~ 승차 정류장 위치와 하차 정류장 위치 ~ 도착 위치 직선 거리의 1.3배 적립 2️⃣ 즐겨 찾기 등록 시 등록 된 출발 및 도착 위치와 승,하차 정류장 위치의 직선 거리의 1.3배 적립 3️⃣ 신체 활동, 건강 등 도보 수 수집 권한 허용 시 대중 교통 이용을 위해 이동한 15분 도보 수에 평균 도보 거리를 적용해 산출(도보 수 체크 기능이 없으면 산출 안됨)
알뜰교통카드 사용
①알뜰교통카드 발급 받기
– 신한,우리,하나,삼성,국민,현대,농협,비씨,캐시비,DGB ( 티머니는 신규 발급 중단)
②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앱 설치하러 가기
③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가입하기
👉홈페이지 바로 가기
④대중 교통 이용 시 알뜰교통카드로 결제
⑤마일리지 적립 방식에 따라 마일리지 선정
⑥1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지급
마일리지 지급 방법
사용 익월에 청구 할인이 되며(신용카드), 계좌 입금(체크 카드), 충전(모바일 선불 카드) 방식 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서 지급됩니다. 카드사의 추가 혜택 또한 별도로 지급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정보의 뉴스 내용들
광역콜버스 이제 버스도 미리 예약하는 시대가 열렸다
불법 주정차 차량 간단하게 안전신문고 앱으로 신고하세요
마치며,
정부에서 시행하는 이번 사업은 교통비 절감 및 전체적으로 사업에 만족하다는 의견이 다수입니다. 무려 전체의 92%가 만족하다고 나타났는데요. 이는 작년보다 높은 만족도가 나와 아마 이번에 탄력을 받아 추가적으로 혜택을 상향한 것 아닐까 싶습니다. 어찌 됐든 우리 일반 국민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겠습니다. 아직 까지도 잘 모르고 계셨던 분들은 직접 사용하시면서 조금씩 조금씩 적립해 나가보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