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여름마다 찾아오는 태풍과 호우, 폭염 등 자연재해들이 점점 많아 지고 있죠? 올해도 어김없이 많은 비가 내린다고 하고 곧 다가올 장마철도 아주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대비하기 위한 대처 요령 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연재해 폭염 시 대처법
일 최고 체감 온도 33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나 또는 급격한 체감 온도 상승, 폭염 장기화 등으로 막대한 피해 발생이 예상될 때를 폭염 주의보라고 합니다. 더불어 일 최고 체감 온도가 35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를 폭염 경보라고 하는데요. 이 때에는 열사병 및 일상병이 빈번히 나타나곤 합니다. 이럴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TV나 인터넷, 라디오 등 매체를 통해 무더위 상황을 수시로 확인
- 수분을 많이 섭취
- 가급적 가장 더운 오후 2시~오후 5시에는 야외 활동 자제
- 에어컨 작동 시 실내,실외 온도차를 5도 내외로 유지
- 음식은 완전 익혀 먹어 식중독 예방
- 현기증 및 두통의 가벼운 증상이 일어날 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
- 축사, 비닐하우스 등은 수시로 환기 또는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춤
- 어린이나 노약자 등 건강이 염려되는 분들의 안부를 살핌
자연재해 태풍 시 대처법
태풍은 지역을 가리지 않고 매우 경계해야 할 재연재해 중 하나 인데요. 태풍에 대한 대처 법과 도시 지역, 농촌 지역, 해안 지역을 구분 지어 각 지역에 따른 대처 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언론 및 방송 매체를 통해 태풍 상황을 체크
- 가정 하수구 및 주변 배수구 점검 필요
- 하천 근처에 주차한 자동차는 다른 곳으로 이동 시키기
- 응급 약품, 손전등 등 비상 용 물품은 미리 준비하기
- 지붕, 간판 등 날아가지 않게 고정
- 대피 장소나 비상 연락 방법 등을 미리 숙지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
👉고층 건물 유리창에 테이프를 붙여 파손에 미리 대비
👉간판이나 위험 시설물 주변으로 걷거나 근처에 가지 않기
👉옥상,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 근처에 가지 않기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
👉논둑을 미리 미리 점검하고 물꼬를 조정
👉모래주머니 등으로 물을 막아 농경지 침수에 예방
👉비닐하우스나 재배시설 등은 단단히 묶어 놓기
해안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면?
👉비탈면에 접근하지 않기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
자연재해 호우 시 대처 법
도시에 집중 호우가 온다면 각 종 침수에 노출되기가 쉬운데요. 실내, 도로, 교량에서 침수가 될 때를 대비해 각각 대처 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실내 침수 시
✅ 계단이 침수 될 때
👉일단 신속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119에 신고, 신고 후 수심이 무릎 이하일 경우 탈출
👉슬리퍼나 하이힐을 신었을 경우 신발을 벗고 맨발로 탈출
✅ 집 또는 건물 안이 침수 될 때
👉우선적으로 전기를 차단 후 수위가 종아리 아래일 시 신속히 탈출
👉출입문이 열리지 않을 시 119에 신고 후 주변 사람들과 힘을 합쳐 대피
✅ 외부 활동 중 하천이 범람 할 때
👉절대적으로 안전 지대에서 야영하고 대피 방송이 나오면 신속히 대피
👉물이 무릎까지 찰 경우 이동하지 말고 119에 신고를 통해 안전 확보 후 이동
도로 침수 시
👉침수 된 도로는 우회
👉도로의 맨홀이 솟아 오를 수도 있으니 맨홀을 피해 안전 운행
👉야간 운행은 자제하고, 도로 경사로 유속이 빠른 곳은 절대적으로 피함
👉차량 침수가 우려될 시 타이오 높이 2/3 이상이 잠기기 전에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
👉차량 창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 차량 문을 있는 힘껏 밀면 열 수 있으니 탈출 후 대피(시동이 꺼져도 전자 장치의 고장이 아닐 경우 창문이나 선루프를 열 수 있음)
👉만약 차량이 침수 됐다면 내·외부 수압 차이로 문이 열리지 않는 것에 대비해 창문을 미리 열어둠
👉미리 창문을 열지 못했을 경우 차량 내·외부 수위 차이가 30cm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탈출(초등학교 5~6학년 이상의 힘이면 쉽게 열 수 있음)
교량 침수 시
👉침수 된 교량에서 급류가 발생해 교량이 잠겨 있는 경우 절대 하천으로 진입하면 안됨
👉하천에서 급류가 발생 시 마찬가지로 절대 진입하면 안됨
👉불가피하게 급류 하천에 진입이 했을 시 반대쪽 문이 열리지 않거나 내릴 수 없는 경우 단단한 물체로 유리창을 깨트려야 함
👉창문의 중앙 부분보다는 모서리 부분을 치거나 발로 깨뜨려야 함
👉흐르는 급류의 반대쪽의 문을 열어 탈출
👉탈출 후 가까운 제방 위로 걸어서 대피
자연재해·재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분들은 기상 예보에 수시로 상황을 체크해야 하고, 불필요한 야외 활동은 자제하시는 게 좋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각 종 대처 법과 행동 요령을 꼭 확인 및 숙지를 하시고 올 여름 안전하게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
⏩ 여름철 함께 읽으면 좋은 정보